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19년 1월 韓美 교역 및 투자 동향 2019.02.28 |
---|
|
□ '19년 1월 우리나라의 對美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하였으며 對美 무역수지 흑자는 9억 달러를 기록함 ㅇ 對美 수출은 '18년 전년대비 6% 증가한데 이어 '19년 1월 전년대비 20.3% 증가하였고, 對美 수입은 '18년 전년대비 16% 증가한데 이어 '19년 1월 전년대비 7.1% 증가함 - '19년 1월 對美 주요 수출 품목 10개 모두 전년대비 증가한 가운데, 특히 제트유 및 등유, 집적회로 반도체, 항공기부품, 냉장고, 자동차 부품 등이 큰 성장세를 보임 - '19년 1월 對美 주요 수입 품목 10개 중 6개 품목은 전년대비 증가하였고 4개 품목은 전년대비 감소한 가운데, 특히 원유, 사료, 천연가스 등의 증가가 두드러졌고 반도체제조용장비, 항공기부품 등의 수입 감소가 눈에 띔 ㅇ '18년 미국의 對韓 투자는 전년대비 24.3% 증가하였으나, 1~3분기 한국의 對美 투자는 전년대비 36.3% 감소함 - 미국의 對韓 투자는 '14년 36억 달러, '15년 55억 달러, '16년 39억 달러, '17년 47억 달러, '18년 59억 달러를 기록 - 한국의 對韓투자는 '14년 59억 달러, '15년 70억 달러, '16년 135억 달러, '17년 153억 달러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'18년(1~3분기) 전년대비 36.3% 감소한 84억 달러를 기록함
□ 美中 무역 분쟁이 일시적으로 완화되었으나 미래 기술패권을 향한 주도권 경쟁은 장기화될 전망 ㅇ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 관세인상을 연기하며 美中 무역전쟁 종지부에 대한 가능성을 암시
- '19년 3월 1일 시행 예정이었던 2천억 달러 상당의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 관세(10~25%) 인상 계획이 미루어지고 美中 무역협상 기한도 연장됨
□ '19년 미국과 중국 양국의 경제성장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로 인해 글로벌 경제도 다소 하락세를 보일 전망 ㅇ 美中 무역전쟁으로 인한 중국의 내수 소비시장 침체와 미국 경제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회복세를 보이던 유럽연합과 일본의 경기 하강에 따라 글로벌 경제가 다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됨 - 美 의회예산국(CBO)은 '19년 미국 경제성장률을 전년대비 0.8% 하락한 2.3%로, OECD는 '19년 중국 경제성장률을 전년대비 0.3% 하락한 6.3%로 예측함 - IMF는 '19년 세계경장성장률 전망치를 3.7%에서 3.5%로, OECD는 3.7%에서 3.5%로 하향 조정함 ※ 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|